(합격수기) 무대에 서있는 내가 제일 즐겁고 행복해야 한다.

2024-08-07



항상  잘하고 싶고, 잘 되고 싶었지

정작 무대에 서 있는 나 자신한테는 아무것도 해준게 없었어요


* 명지대학교 뮤지컬학과 / 박찬준 



♣ 대학을 졸업하고 다시 입시를 시작한 이유는?


저는 여주대학 음악공연예술과에서 뮤지컬을 전공했어요. 그리고 졸업을 하자마자 다시 입시를 시작했죠. 고3 때는 나름대로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결과가 좋지 않았어요. 지금 생각해보면 노력도 실력도 다 부족했는데 욕심만 많았던것 같아요. 수시에서 모두 높은 학교들만 지원을 했다가 보기좋게 모두 낙방을 했죠. 그래서 정시 때는 가,나,다군에서 내가 원하는 학교가 전부 안되면 원하는 과라도 가자 하는 마음으로 여주대 뮤지컬전공으로 원서를 넣어두었는데 결국 여주대를 가게 되었어요.


사실, 그때 여주대를 가야할지 재수를 해야할지 고민이 많았어요. 그렇게 이름이 있는 학교도 아니었고 뮤지컬전공도 생긴지가 얼마되지 않았거든요. 근데 한번 실패를 하고 나니까 정말 자신감이 없었어요. 재수를 할 용기도 없었구요. 그래서 일단 다니면서 생각하자 하고 등록을 했죠. 대학생활은 잃은 것도 많고, 얻은 것도 많았어요. 생긴지 얼마되지 않은 학과라 체계도 없고 지원도 부족했어요. 그래서 늘 수업이나 공연은 아쉬운 점이 많았어요. 하지만 지금까지시도 때도 없이 연락하고 만나고 있는 동기 친구들을 만난건 정말 큰 행운이었던 것 같아요.


솔직히 대학생활은 힘들었지만 재미도 있었어요. 그런데 졸업을 할 때가 되니까 고3 때의 고민이 다시 시작되더라구요. 졸업은 다가오고, 부족한 건 너무 많고… 마땅히 도움을 줄 수 있는 선배나 선생님이 있는 것도 아니구… 그냥 먼 길을 돌아서 다시 제자리에 와 있는 느낌이었어요. 차라리 고3 때 재수를 한번 해볼껄 하는 후회가 뒤늦게 너무 많이 들었어요.


마지막 학기에 졸업공연을 준비하면서 많은 고민을 했었는데 결국 결론은 하나였어요. 다시 학교를 가는 것이었죠. 재수하는게 두려워서 여주대에 들어왔던 것도 너무 비겁했단 생각이 들었고, 학교를 다니면서 연기나 노래도 조금은 알게 된 것 같아서 꼭 한번 다시 도전을 해보고 싶었어요.



♣ 다시 시작한 수험생활은?


스물 두살에 다시 시작한 수험생활은 다시 입시를 하겠다고 마음 먹었을 때의 생각과 정말 달랐어요. 아무리 전문대지만 뮤지컬을 전공했고, 학교에서 공연도 여러번 했었기 때문에 고3 때보다는 훨씬 자신감이 있었어요. 그런데 막상 해보니까 모르는 것도 많고 부족한 것도 한 둘이 아니었어요. 게다가 저의 특유의 말투와 나쁜 습관들이 끝까지 발목을 잡고 놓아주질 않았어요.


대학을 이미 한번 다녀봤으니 아무데나 갈 수도 없고, 목표했던 동국대는 너무 멀게 느껴지고… 밤마다 가위에 눌린 사람처럼 잠에서 깨는 일이 점점 늘어갔어요. 다시 입시준비 한다고 지원해 주시는 부모님 덕택에 알바 한번 안하고 학원만 다녔는데 아침마다 부모님 얼굴 뵙기도 너무 죄송했구요. 결국 입시를 한 달 정도 남기고는 저의 유리멘탈이 빛을 발하기 시작했어요. 무대에만 나가면 떨고, 선생님이 뭐라고 지적만 하셔도 울고… 다시 또 한 해를 더 한다는 것은 정말 상상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너무 중압감이 심했어요. 무대에 올라가면 연기에 대한 생각보다는 또 떨어지면 어떻게 하나 하는 생각밖에 안들었죠.


암튼, 거창한 꿈을 가지고 시작했던 저의 스물 두살의 도전은 그렇게 무대에서 떨고, 울기만 하다가 허무하게 끝이 나고 말았어요. 동국대를 가겠다던 꿈은 군대로 바꼈구요. 아무것도 이룬 것 없이 훈련소를 들어가던 날이 아직도 기억이 나요. 당연히 그날도 엄청 떨고, 엄청 울었죠. 군대도 떨어지지 않은게 다행일 정도였어요. 다행히 지금은 공익으로 지하철역에서 근무하고 있어서 몸이 많이 힘든건 아니지만 한동안은 마음이 너무 힘들었어요. 그래서 출근하면 밥도 잘 안먹고 사람들하고 얘기도 많이 안했어요. 그래서 우울할 때면 근무를 서면서 노래를 불렀어요. 지하철역에 사람들이 뜸해 질때쯤 노래도 부르고 대사도 치고요. 야간 근무를 할 때는 정말 좋았어요. 텅빈 지하철 승강장이 전부 저의 무대였으니까요.


답답한 공익생활과 무대에 대한 갈증 때문이었는지는 몰라도 이렇게 혼자서 노래하고 연기하는 시간들이 너무 행복했어요. 입시에 대한 결과를 생각할 필요도 없고, 누군가의 평가를 받거나 잘 보일 필요도 없이 온전히 제 자신만을 위해 노래하고, 웃고, 울 수 있는 시간이었으니까요. 그때 깨달았죠. 제가 왜 실패해야 했었는지. 항상 잘하고 싶고, 잘 되고 싶은 욕심만 있었지 정작 무대에 서 있는 나 자신한테는 아무것도 해준게 없었어요. 어떤 결과나 남들의 평가를 떠나 연기를 하는 내가 제일 즐겁고 행복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던거 같아요. 내 연기 속에 내가 없었던 거죠. 그저 알량한 자존심과 가식, 오만 이런 것들만 꽉 채워져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러니 누가 제 연기를 보고 즐거웠겠어요?


♣ 연영과 지망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결과가 안좋아서 공익을 갈 때는 정말 죽고 싶은 마음이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진짜 제 모습을 찾아가는 소중한 시간이 되고 있어요. 아직 제대할 때까지 1년이 남았지만 공익을 받으면서 다시 도전을 할 생각이에요. 그래서 이번 입시의 편입부터 시험을 봤는데 지하철역에서 1년 동안 도닦은 덕분에 명지대 뮤지컬학과에 최종합격을 했어요. 하지만 어차피 공익근무 중이라 학교를 다닐 수 없어서 등록만 하고 올해 다시 동국대에 도전을 할 생각이에요.


연영과 입시를 준비하는 분들도 눈 앞에 보이는 결과나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너무 연연하지 마시고 순수하게 자기 자신을 위해 무대에 섰으면 좋겠어요. 내가 좋자고 시작한 일인데 내가 즐거워야 하지 않을까요? 당연히 내가 즐겁고 행복해야 나의 연기를 보는 사람들도 즐겁고 행복할 테구요. 


입시를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 올해는 연기 때문에 행복한 한해가 되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