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영화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연극영화과 편입학을 준비하는 사람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연영과를 졸업한 전공자들 뿐만 아니라 비공자들까지 편입학에 도전을 하면서 편입학 시험의 경쟁률도 신입학 못지않게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편입학은 생각처럼 그렇게 쉬운 시험이 아니다.
편입을 한다는 것은 기존에 다니던 대학보다 더 나은 대학을 가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 때문에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비전공자들이 전공을 바꾸기 위한 목적으로 편입을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본인이 지금 다니고 있는 학교보다 터무니없이 낮은 학교를 지원할 수는 없다. 그리고 선발하는 인원 또한 신입학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적은 인원을 선발하기 때문에 결코 쉬운 시험이라고 말할 수 없다.

(1) 수시와 한예종, 서울예대 졸업자전형은 무조건 지원해라.
편입을 생각하고 있더라도 수시와 한예종, 서울예대 졸업자전형은 꼭 지원하는 것이 좋다. 수시와 한예종은 수능을 보지 않더라도 시험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부담 없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수시나 한예종 모두 힘든 시험이고, 붙을 확률보다는 떨어질 확률이 높다. 하지만 이 기회를 잘 활용하면 편입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현재 위치를 점검하거나 향후 본격적인 편입시험의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시에서 자신이 편입하고 싶은 대학을 몇 군데 미리 지원해보면 시험 분위기나 본인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도 있고,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를 알 수도 있다.
(2) 찍어서라도 수능은 봐야 한다.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신입학에 대해 부담감을 갖는 이유 중에 하나는 수능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늦은 나이를 이유로 들지만 이것은 핑계에 지나지 않다고 생각한다. 나이 때문에 1학년부터 다시 다니는 것이 부담스럽다고 말하는 학생에게 수시나 정시로 중앙대나, 한양대, 동국대 혹은 한예종 같은 메이져 대학에 합격을 한다면 어떻게 하겠냐고 물어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등록을 하겠다고 대답을 한다.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수능에 대한 부담감과 재입학을 준비할 때의 두려움이 당연히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어차피 1년이란 시간을 다시 입시에 투자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본인이 도전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살려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찍는 한이 있더라도 수능을 보고 정시까지 도전을 해야한다.
(3) 수능 이후에는 정시와 편입을 동시에 준비해라.
만약, 수시와 한예종을 모두 실패했다면 수능 이후에 정시와 편입학을 동시에 준비하시는 것이 좋다. 위에서도 언습했듯이 편입은 뽑는 인원도 적고, 볼 수 있는 학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편입시험만 바라보고 준비를 하다가는 낭패를 볼 확률이 아주 높다.
신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실패를 하고나면 어쩔 수 없이 다시 재수를 해야겠지만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다시 시험준비를 위해 학원을 다니기도 그렇고 혼자하기도 그런 애매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때문에 꼭 수능을 보고 정시와 편입을 동시에 준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편입은 절대 쉬운 시험이 아니다. 쉽게 편학 할거란 말을 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실제로 편입에 성공하는 사람들은 극소수다. 때문에 한번 마음을 먹고 준비를 할 때 가능한 모든 기회를 살려서 도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정시나 편입시험 모두 1월에 집중되어 있고 몇몇 학교를 제외하고는 편입학과 신입학의 실기시험이 비슷하기 때문에 준비에 어려움은 없다. 어려운 것은 마음을 먹는 일이다.
연극영화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연극영화과 편입학을 준비하는 사람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연영과를 졸업한 전공자들 뿐만 아니라 비공자들까지 편입학에 도전을 하면서 편입학 시험의 경쟁률도 신입학 못지않게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편입학은 생각처럼 그렇게 쉬운 시험이 아니다.
편입을 한다는 것은 기존에 다니던 대학보다 더 나은 대학을 가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 때문에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비전공자들이 전공을 바꾸기 위한 목적으로 편입을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본인이 지금 다니고 있는 학교보다 터무니없이 낮은 학교를 지원할 수는 없다. 그리고 선발하는 인원 또한 신입학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적은 인원을 선발하기 때문에 결코 쉬운 시험이라고 말할 수 없다.
(1) 수시와 한예종, 서울예대 졸업자전형은 무조건 지원해라.
편입을 생각하고 있더라도 수시와 한예종, 서울예대 졸업자전형은 꼭 지원하는 것이 좋다. 수시와 한예종은 수능을 보지 않더라도 시험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부담 없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수시나 한예종 모두 힘든 시험이고, 붙을 확률보다는 떨어질 확률이 높다. 하지만 이 기회를 잘 활용하면 편입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현재 위치를 점검하거나 향후 본격적인 편입시험의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시에서 자신이 편입하고 싶은 대학을 몇 군데 미리 지원해보면 시험 분위기나 본인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도 있고,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를 알 수도 있다.
(2) 찍어서라도 수능은 봐야 한다.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신입학에 대해 부담감을 갖는 이유 중에 하나는 수능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늦은 나이를 이유로 들지만 이것은 핑계에 지나지 않다고 생각한다. 나이 때문에 1학년부터 다시 다니는 것이 부담스럽다고 말하는 학생에게 수시나 정시로 중앙대나, 한양대, 동국대 혹은 한예종 같은 메이져 대학에 합격을 한다면 어떻게 하겠냐고 물어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등록을 하겠다고 대답을 한다.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수능에 대한 부담감과 재입학을 준비할 때의 두려움이 당연히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어차피 1년이란 시간을 다시 입시에 투자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본인이 도전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살려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찍는 한이 있더라도 수능을 보고 정시까지 도전을 해야한다.
(3) 수능 이후에는 정시와 편입을 동시에 준비해라.
만약, 수시와 한예종을 모두 실패했다면 수능 이후에 정시와 편입학을 동시에 준비하시는 것이 좋다. 위에서도 언습했듯이 편입은 뽑는 인원도 적고, 볼 수 있는 학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편입시험만 바라보고 준비를 하다가는 낭패를 볼 확률이 아주 높다.
신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실패를 하고나면 어쩔 수 없이 다시 재수를 해야겠지만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다시 시험준비를 위해 학원을 다니기도 그렇고 혼자하기도 그런 애매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때문에 꼭 수능을 보고 정시와 편입을 동시에 준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편입은 절대 쉬운 시험이 아니다. 쉽게 편학 할거란 말을 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실제로 편입에 성공하는 사람들은 극소수다. 때문에 한번 마음을 먹고 준비를 할 때 가능한 모든 기회를 살려서 도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정시나 편입시험 모두 1월에 집중되어 있고 몇몇 학교를 제외하고는 편입학과 신입학의 실기시험이 비슷하기 때문에 준비에 어려움은 없다. 어려운 것은 마음을 먹는 일이다.